KIIP 3 Unit 12–Essential Words and Phrases About Traditional Holidays

 Welcome to KIIP Level 3 Unit 12! This lesson focuses on essential vocabulary and grammar patterns for discussing Korea's traditional holidays and customs. You'll learn about important celebrations, traditional foods, and seasonal practices.

This unit introduces two key grammar patterns:

1. Verb/Adj + -어도 - Used to express "even if" or "although"

2. Verb + - 되다 - Used to indicate a change in situation or something coming to pass

KIIP 3 Unit 12 Traditional Holidays

Essential Vocabulary & Phrases

Calendar Terms (날짜 용어)

Korean

English

음력

Lunar calendar

양력

Solar calendar

설날

Lunar New Year

정월 대보름

First full moon festival

추석

Korean Thanksgiving (Chuseok)

동지

Winter solstice

 

Traditional Foods (전통 음식)

Korean

English

떡국

Rice cake soup (New Year)

팥죽

Red bean porridge (Dongji)

송편

Half-moon rice cakes (Chuseok)

부럼

Nuts (Daeboreum)

 

Holiday Activities (명절 활동)

Korean

English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기원하다

Wish for health and longevity

일 년 동안 피부병이 생기지 않는다

Prevent skin diseases for a year

붉은색이 나쁜 것을 쫓는다

Red color drives away evil

일 년 농사에 감사하다

Give thanks for the year's harvest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 윷놀이를 하다

Family gathers to play Yutnori

연날리기, 제기차기 놀이를 즐기다

Enjoy kite flying and jegichagi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다

Make wishes while viewing full moon

햇곡식과 햇과일로 차례를 지내다

Hold ancestral rites with new crops

 

Additional Vocabulary (추가 어휘)

Korean

English

풍습

Custom/tradition

한가위

Traditional name for Chuseok

황금연휴

Golden holidays

귀성 전쟁

Holiday travel rush

귀성객

Holiday travelers

고속 도로

Highway

붐비다

To be crowded

근하신년

Happy New Year

가득하다

To be full

빌다

To wish/pray

친지들

Relatives

보름달

Full moon

넉넉하다

To be plentiful

풍성하다

To be abundant

설빔을 입다

Wear new holiday clothes

덕담을 하다

Exchange good wishes

세배하다

Perform New Year's bow

세배돈을 받다

Receive New Year's money

 

Grammar Notes & Examples

1. Verb/Adjective + -어도 ("Even if/Although")

Used to express that the situtation in the second clause happens or is true regardless of the condition in the first clause.

Conjugation Rules:

Verbs + /어도:

  • 가다 가도
  • 먹다 먹어도
  • 가르치다 가르쳐도
  • 공부하다 공부해도

Adjectives + /어도:

  • 작다 작아도
  • 피곤하다 피곤해도

Examples:

1.     선배, 공부 때문에 바쁜데 이번 추석 고향에 가요?
(Senior, you're busy with studies - are you going home for Chuseok?)
그럼, 아무리 바빠도 명절에는 고향에 가야지. 부모님이 기다리시거든.
(Of course, no matter how busy I am, I must go home for holidays. My parents are waiting.)

2.     비가 오면 이번 행사가 취소됩니까?
(Will the event be canceled if it rains?)
아닙니다. 비가 와도 행사는 진행됩니다.
(No. Even if it rains, the event will proceed.)

3.     매일 운동을 해요?
(Do you exercise every day?)
, 아무리 피곤해도 매일 운동을 해요.
(Yes, no matter how tired I am, I exercise daily.)

4.     나는 시간이 없어도 아침밥을 먹는다.
(Even when I don't have time, I always eat breakfast.)

5.     몸이 아무리 아파도 수업 시간에 결석하지 않는다.
(No matter how sick I am, I never miss class.)

 

2. Verb + - 되다 ("Come to/Come to be")

Used to indicate a change in situation or something coming to pass naturally.

Conjugation Rules:

  • 가다 가게 되다
  • 먹다 먹게 되다
  • 공부하다 공부하게 되다

Examples:

1.     분은 처음에 어떻게 만나셨어요?
(How did you two meet?)
친한 친구 소개로 만나게 됐어요.
(We came to meet through a close friend's introduction.)

2.     짐을 싸고 있어요? 이사 가요?
(Why are you packing? Are you moving?)
, 싸고 좋은 집을 구해서 이사 가게 됐어요.
(Yes, I found a nice affordable house so I'll be moving.)

3.     한국에 와서 달라진 있어요?
(Has anything changed since coming to Korea?)
고향에서는 매운 음식을 먹었는데 이제는 매운 음식을 먹게 됐어요.
(I couldn't eat spicy food back home, but now I've come to eat it well.)

4.     장사가 돼서 가게 문을 닫게 되었다.
(The business wasn't doing well, so the store came to close.)

5.     이번에 새로운 회사에 들어가게 되어서 정말 기쁘다.
(I'm really happy that I'll be joining a new company this time.)

 

 

Speaking Practice

Click to listen to the audio and try to repeat speaking.


과장님: 안젤라 , 명절 보냈어요?
(Manager: Angela, did you have a good holiday?)

안젤라: . 보냈어요. 과장님도 연휴 동안 지내셨어요?
(Angela: Yes, I did. Did you have a good holiday too, Manager?)

과장님: 고향 부모님 댁에 다녀왔어요. 아무리 바빠도 명절에는 부모님을 뵈러 가니까요.
(Manager: I visited my parents' hometown. No matter how busy I am, I always visit my parents for holidays.)

과장님: 그런데 안젤라 , 설날에 떡국 먹었어요?
(By the way Angela, did you eat tteokguk on Lunar New Year?)

안젤라: 아니요. 설날에 떡국을 먹어야 해요?
(Angela: No. Do I have to eat tteokguk on New Year's?)

과장님: 그럼요. 안젤라 , 한국에서는 해가 바뀔 나이가 많아지잖아요. 그런데 한국 사람들은 설날에 떡국을 먹어야 나이가 많아진다고 생각하거든요.
(Manager: Of course. Angela, you know in Korea we get one year older when the new year comes. Korean people believe you only age one year if you eat tteokguk on New Year's.)

안젤라: 그래요? 그래서 생일이 지났는데 한국 나이로는 살이 많은 거군요. 과장님 덕분에 한국 문화를 알게 됐어요.
(Angela: Really? So that's why I'm one year older in Korean age even before my birthday. Thanks to you Manager, I've come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better.)

 

Reading Comprehension

(1) Holiday Greetings (명절에 보내는 인사말)

새해 많이 받으십시오. (Please receive lots of new year's blessings.)
새해에도 건강하고 평안하시기 바랍니다. (Wishing you health and peace in the new year too.)
새해 많이 받으세요. (Happy New Year - literally "Receive lots of new year's blessings")
새해에는 뜻한 이루시고 가정에 행복이 가득하시길 빕니다. (May all your wishes come true and your home be filled with happiness this new year.)
가족, 친지들과 함께 보름달처럼 넉넉하고 풍성한 한가위 보내십시오. (May you spend Chuseok abundantly like the full moon with family and relatives.)
추석이 다가왔습니다. 감사와 행복이 넘치는 추석 연휴 보내시길 바랍니다. (Chuseok is approaching. May you have a Chuseok holiday overflowing with gratitude and happiness.)


(2) Korean Traditional Holidays (한국의 명절)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에는 설날과 추석이 있다. 설날은 음력 1 1일이다. 설날에는 아무리 바빠도 가족들이 모두 모여서 새해 인사를 한다. 새해 인사를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세배를 한다. 세배를 받은 윗사람은 아랫사람에게 덕담을 주고, 아이들에게는 세뱃돈을 준다. 그리고 함께 떡국을 먹는다. 설날에 떡국을 먹으면 나이도 먹는다고 생각한다. 또한 전통적으로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 윷놀이를 하거나 아이들은 연날리기, 제기차기 놀이를 즐기기도 했다.
Korea's major traditional holidays are Seollal (Lunar New Year) and Chuseok. Seollal falls on the first day of the lunar calendar. No matter how busy they are, families gather to exchange New Year's greetings. Younger family members perform sebae (deep bows) to their elders. The elders give blessings and new year's money to children. They eat tteokguk (rice cake soup) together, believing this makes them one year older. Traditionally, families played yutnori (a board game) while children enjoyed kite flying and jegichagi (Korean hacky sack).


한국의 다른 명절인 추석은 음력 8 15일로 한가위라고도 한다. 추석에는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다. 해에 처음으로 얻은 햇곡식과 햇과일을 준비해서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추석에는 송편을 빚어서 먹는데 송편을 예쁘게 빚으면 예쁜 아이를 낳는다는 말도 전해지고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추석 밤에는 보름달을 바라보면서 소원을 빌었다.
Another major holiday, Chuseok (Korean Thanksgiving), falls on the 15th day of the 8th lunar month. Families hold ancestral rites with the year's first harvest of grains and fruits to express gratitude. They make and eat songpyeon (half-moon rice cakes) - there's a saying that beautifully shaped songpyeon brings beautiful children. Traditionally, people made wishes while viewing the full moon on Chuseok night.


그런데 시대가 바뀌면서 현대의 명절 모습은 예전과 많이 달라졌다. 친척이나 아는 사람들을 직접 찾아가는 대신에 명절 인사를 문자 메시지로 보낸다. 그리고 가족들이 함께 여행을 가기도 하고 개인적인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요즘은 오랜만에 가족이 모인다는 의미와 일상에서 휴식한다는 의미가 커지게 되었다.
However, modern holiday customs have changed significantly. Instead of visiting in person, people send holiday greetings via text. Some families travel together or spend personal time. Nowadays, the meaning has shifted more toward family reunions and taking breaks from daily life.

 

Quiz

Translate into Korean using the grammar and vocabulary from this lesson:

1.     "Even if it's raining, we will eat tteokguk for New Year's."

2.     "Although I was busy, I came to understand Korean holiday customs."

3.     "No matter how tired I am, I will make songpyeon for Chuseok."

4.     "After living in Korea, I came to enjoy traditional holidays."

 

Answers:

1.     비가 와도 설날에 떡국을 먹을 거예요.

2.     바빠도 한국 명절 풍습을 이해하게 됐어요.

3.     아무리 피곤해도 추석에 송편을 빚을 거예요.

4.     한국에서 살다 보니 전통 명절을 즐기게 됐어요.

 

Conclusion

In this lesson, we learned to:
• Use Verb/Adj + -
어도 to express "even if/although" situations
• Apply Verb + -
되다 to describe natural changes or outcomes
• Discuss important Korean holidays like Seollal and Chuseok
• Understand traditional foods and their cultural significance

Keep practicing to confidently discuss Korean holidays and cultural traditions! 🎎🎏

Hi, feel free to leave a comment here. For a special request, please send us an email to hlamdo4u(at)gmail.com

Previous Post Next Post

نموذج الاتصال

Masto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