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IP 3: Unit 13–Essential Words and Phrases About Workplace

Welcome to KIIP Level 3 Unit 13! This lesson focuses on essential vocabulary and grammar patterns for workplace communication in Korea. You'll learn how to discuss job responsibilities, work processes, and office culture.

This unit introduces two key grammar patterns:

1.     Verb + - 하다 - Used to make someone do something

2.     Verb + - 가다 - Used to indicate ongoing progress

KIIP 3 Unit 13 Workplace

Essential Vocabulary & Phrases

Basic Work Terms (기본 업무 용어)

Korean

English

업무

Work tasks

지시

Instructions

작성하다

To prepare/write

결재

Approval

정비하다

To maintain

작동

Operation

공구

Tools

재고

Inventory

자재

Materials

제출하다

To submit

작업

Work task

반반씩

Half-half (equally/divided in half)

Work Activities (업무 활동)

Korean

English

회의를 하다

To have a meeting

업무 지시를 하다

To give work instructions

업무 지시를 받다

To receive work instructions

업무를 보고하다

To report work progress

서류를 작성하다

To prepare documents

결재를 하다

To approve

결재를 받다

To get approval

Technical Work Actions (기술 작업)

Korean

English

기계를 정비하다

To maintain machinery

작동을 확인하다

To check operation

공구를 준비하다

To prepare tools

재고를 정리하다

To organize inventory

자재를 주문하다

To order materials

작업 일지를 작성하다

To write work log

작업 일지를 제출하다

To submit work log

Workplace Concepts (직장 개념)

Korean

English

사무직

Office work

생산직

Production work

관리직

Management

영업직

Sales staff

판매직

Retail associate

일용직

Daily labor

급여

Monthly salary

연봉

Annual salary

주급

Weekly wage

일당

Daily wage

시급

Hourly wage

수당

Allowance, bonus

Workplace Relations (직장 관계)

Korean

English

상하 관계

Hierarchical relationship

원만하다

Harmonious

상의하다

To consult

허락을 받다

To get permission

Work Conditions (근무 조건)

Korean

English

성과

Performance

피로

Fatigue

정확하다

Accurate

이겨 내다

To overcome

재충전하다

To recharge

적응하다

To adapt

 

Grammar Notes & Examples

1. Verb + - 하다 ("Make someone do")

Used when making or allowing someone to do something (causative form).

Conjugation Rules:

Verbs + - 하다

  • 먹다 먹게 하다
  • 오다 오게 하다
  • 보다 보게 하다
  • 작성하다 작성하게 하다

Examples:

1.     반장님, 오늘 작업을 마무리했는데요.
(Team leader, I finished all the work today.)
그래요? 그럼 작업 일지 잊지 말고 작성하세요. 그리고 팀원들에게도 작성하게 하세요.
(Really? Then don't forget to write the work log. And have your team members write it too.)

2.     약을 식후에 아이에게 먹게 하세요.
(Have the child take this medicine after meals.)
, 선생님. 식후 30분에 먹이면 되죠?
(Yes, doctor. Should I give it 30 minutes after eating?)

3.     과장님이 무슨 일을 시켰어요?
(What work did the manager assign?)
이링 씨에게 회의를 준비하게 하셨어요.
(He had Irang prepare the meeting.)

4.     아이에게 자기 방을 스스로 정리하게 하세요.
(Make your child clean their own room.)

5.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외국인 등록을 하게 합니다.
(The immigration office makes foreigners staying over 6 months register.)

2. Verb + - 가다 ("Gradually/Progressively")

Used to indicate ongoing progression or gradual change.

Conjugation Rules:

  • 가다:
    • 오다 가다
    • 끝나다 끝나 가다
  • 가다:
    • 먹다 먹어 가다
    • 만들다 만들어 가다
  • 가다:
    • 적응하다 적응해 가다
    • 완성하다 완성해 가다

Examples:

1.     회사 생활은 만해요?
(How's your company life?)
, 선배들이 가르쳐 주셔서 적응해 가고 있어요.
(Yes, with seniors' guidance, I'm gradually adapting.)

2.     안젤라 , 서류 번역 아직 멀었어요?
(Angela, is the document translation far from done?)
이제 거의 끝나 가요.
(It's nearly finished now.)

3.     한국에 거의 3년이 되어 가요.
(It's becoming almost 3 years since I came to Korea.)

4.     지금은 한국 사람들의 일하는 방식을 알아 가는 중이에요.
(I'm currently learning how Koreans work.)

5.     입사한 얼마 되어서 이제 조금씩 직원들의 이름과 얼굴을 외워 가고 있습니다.
(As I just joined, I'm slowly memorizing colleagues' names and faces.)

 

 

Speaking Practice

Click to listen to the audio and try to repeat speaking.


드미트리: 안젤라 , 무슨 좋은 있었어요?
(Dmitri: Angela, did something bad happen?)

안젤라: 얼마 전에 부장님이 저한테 중요한 계약서를 번역하게 하셨거든요. 그런데 어려운 말이 많아서 제대로 하지 못했어요.
(Angela: Actually, the department manager had me translate an important contract recently. But there were many difficult terms so I couldn't do it properly.)

드미트리: 그럼 미리 선배나 동료들한테 물어보지 그랬어요?
(Dmitri: Then why didn't you ask seniors or colleagues beforehand?)

안젤라: 사람들은 제가 적응해 가는 아는데 물어보기가 창피하더라고요. 이럴 때는 어떻게 하는 좋을까요?
(Angela: Everyone thinks I'm adapting well, so I felt embarrassed to ask. What should I do in these situations?)

드미트리: 그럴 때는 내가 맞는지 주변 사람들에게 계속 물어보는 제일 좋아요.
(Dmitri: In those cases, it's best to keep asking people around you to confirm if you're doing things right.)

 

Reading Comprehension

(1) 직장인들의 힘든 일과 해소한 방법(Difficulties of Office Workers and Coping Methods)

가장 버티기 힘들다고 느끼는 부분은? (Most Difficult Aspects of Work Life)

1.     대인 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2.     야근을 하거나 주말에 출근하는
(Working overtime or weekends)

3.     일에서 좋은 성과를 얻어야 하는
(Pressure to achieve good results)

4.     피로가 쌓이는
(Accumulating fatigue)

5.     월급과 연봉이 오르지 않는
(Salaries not increasing)

직장 생활 지치지 않기 위한 나만의 노하우? (My own tips for not getting tired at work?)

1.     아무것도 하지 않고 집에서 휴식하기
(Resting at home doing nothing)

2.     취미 생활하기
(Pursuing hobbies)

3.     쇼핑하면서 쓰기
(Shopping/spending money)

4.     퇴근 시간에 정확하게 퇴근하기
(Leaving work exactly on time)

5.     혼밥, 혼술, 혼영 자기 시간 갖기
(Having alone time - solo meals/drinks/movies)

6.     동호회에서 사람들과 어울리기
(Socializing in clubs)

(2) 샐러리맨, 직장 생활의 어려움 이렇게 이겨 낸다 (How Office Workers Overcome Difficulties)

잡코리아가 직장인 1,049명을 대상으로 직장에서 가장 힘든 일과 힘든 일을 어떻게 이겨 내는지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번째는 직장 생활을 하면서 언제 힘든지 물어봤다. 가장 많은 대답은 직장인들은 대인 관계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서 힘들다는 것이었다. 직장에서는 성격이 다른 다양한 사람과 같이 일해야 하고 사장님, 부장님, 차장님, 대리님 등의 상사와의 상하 관계도 어렵다고 한다. 다음으로 야근을 하거나 주말에 출근을 해야 힘들다고 한다. 야근이나 주말 근무를 하면 수당을 받기는 하지만 쉬지 못해 피로가 쌓이기 때문에 힘들다고 한다. 그리고 자기가 하는 일에서 좋은 성과를 얻어야 하는 부담감도 직장인들을 힘들게 하는 이유 중의 하나라고 한다.
Job Korea conducted a survey of 1,049 office workers to determine their most challenging work experiences and how they overcome them. First, they asked when they find work challenging.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a source of stress. Respondents said they had to work with a variety of people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and that relationships with superiors, such as managers, department heads, assistant managers, and assistant managers, were difficult. Respondents also cited overtime and weekend work as challenging. While they receive compensation for these tasks, they said they found them exhausting due to the lack of rest. Furthermore, the pressure to achieve excellent results was cited as another factor contributing to stress.

다음으로 직장 생활을 하면서 어려움을 극복해 가기 위해 무엇을 하는지 물어봤다. 많은 사람들이 시간이 있으면 아무것도 하지 않고 휴식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푸는 것이 최고의 방법이라고 했다. 그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거나 취미 생활을 하면서 재충전을 한다고 했다. 또한 힘들게 일을 해서 돈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사는 것도 기분이 좋아지는 일이라고 했다.
Next, they asked what they do to overcome challenges in their work lives. Many respondents said the best way to relieve stress was to relax and do nothing when they had free time. They also cited recharging by engaging in activities they enjoy or pursuing hobbies. They also cited spending their hard-earned money on things they enjoy as a way to feel good.


Quiz

Translate into Korean using the grammar and vocabulary from this lesson:

1. "The manager made me prepare the meeting documents."

2. "Even though it's difficult, I'm gradually adapting to company life."

3. "Have the new employee submit the work log by 5 PM."

4. "Our team is slowly improving our work efficiency."

 

Answers:

1. 과장님이 제게 회의 서류를 준비하게 하셨어요.

2. 어렵지만 회사 생활에 점점 적응해 가고 있어요.

3. 신입 사원에게 오후 5시까지 작업 일지를 제출하게 하세요.

4. 우리 팀은 업무 효율성을 서서히 높여 가고 있어요.

 

Conclusion

In this lesson, we learned to:
• Use Verb + -
하다 to give instructions or make requests in workplace settings
• Apply Verb + -
가다 to describe gradual progress in work adaptation and skills
• Discuss essential workplace tasks and responsibilities
• Navigate office hierarchy and communication

Keep practicing to confidently handle workplace situations in Korean! 💼📈

Hi, feel free to leave a comment here. For a special request, please send us an email to hlamdo4u(at)gmail.com

Previous Post Next Post

نموذج الاتصال

Mastodon